고대 서양과 동양의 인접지역인 바빌로니아(수메르)와 이집트에서 발달한 천문학적인 업적은 후대 그리스 천문학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우주에 대한 신화적 설명에서 벗어나 우주를 과학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노력했고 천체의 운동을 설명할 수 있는 기하학적 우주 모형도 고안했습니다. 그리스 밀레토스, 이오니아 학자와 아리스토텔레스 등지에서 이러한 노력의 흔적은 발견되었으며 프톨레마이오스(AD90-168)의 알마게스트(Almagest, the Great)입니다.
Treatise)에 집대성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들이 한꺼번에 중세까지 믿게 된 서양의 우주관은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며 행성과 태양이 지구 주위를 돌고 있는 천체운행으로 우주를 묘사하고 있습니다. 고대 중국에서도 이와 비슷한 우주관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들도 하늘 또는 천상에서 일어난 일이 땅과 인간에게 영향을 준다고 믿었습니다. 중앙집권적인 황제 지배체제를 구축하고 있던 고대 중국에서는 구체적으로 군주의 정치적 행위가 하늘의 이치를 구현하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지식층이나 학자들은 천문관측을 중시하고 국가에는 천문관이 있습니다 군주의 정치행위나 일상의 모든 법도를 하늘의 뜻에 준하도록 권고하곤 했습니다. 고대 천문학자들은 현대인들에게는 점성술자로 오인되지만 이들은 분명 밤하늘의 천문현상을 관찰하고 이를 국가와 인간사회 전반의 미래에 활용하려는 학자들이었고, 이를 위해 우주에 대한 이해를 높이려고 계속 노력한 사람들로 보입니다. 고대 천문학자들은 지구에서 관찰한 태양, 달, 행성 운행의 주기성과 천체가 머무는 별자리를 파악해 1년의 길이를 정하고, 계절의 변화를 예측해 농업 등 인간 생활에 적용시켰습니다.
고대 중국의 하늘과 별의 운행에 대한 이해를 연구하기 위해 고대 기록을 통해 당시 사람들이 하늘의 모습, 그 속 행성의 운행을 어떻게 생각했는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고대 중국은 주나라 때부터 정오에 관측되는 태양 그림자의 길이 변화를 측정해 지구의 정남북을 알아냈고, 이러한 방법을 응용해 지구의 크기와 태양이 지나가는 하늘의 높이를 측정하고자 했습니다. 이들에게는 고대 이집트와 달리 태양이 떠 있는 남쪽 하늘보다 밤에 별이 보여 이들 운행의 중심이 되는 북쪽 하늘이 중요시되었습니다. 이는 태양의 운행보다 밤하늘의 별, 달, 행성의 운행을 더 잘 알고 풍부한 천문 지식과 이익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인식과 천문학의 발달에 따른 것임이 분명합니다. 고대 중국인들의 우주관을 이해하는 데 있습니다서 어떻게 하늘의 방위가 결정되었는지를 보는 것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고 생각해서 문헌을 통해 조사하였습니다. 이 연구를 위해서 회남자 천문훈과 천관서 사기를 조사했습니다.
현대 천문학의 한 분야인 천체역학을 통해 혜성과 인공위성 및 행성의 운행에 대한 예측은 서로 다른 시기에 관측한 천체의 3번 위치 자료만으로도 그 천체가 어떤 주기를 가지고 있으며, 언제, 어느 때, 어느 하늘에서 다시 관측할 수 있는지를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특히 행성에 관한 경우는 과거 수백 년간 얻은 많은 관측 자료가 축적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한 천체역학 프로그램으로도 쉽게 지금 또는 어느 특정 시간에 하늘의 어느 방향으로 관찰되는지를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The Sky 및 Starry Night 프로그램은 천문학을 전공한 사람들이 참여하여 만든 전문 프로그램을 상용화한 것으로 NASA에서 제공하는 행성의 궤도 요소, 별의 고유 운동, 지구와 태양의 운행에 대한 정보를 충실히 담고 있기 때문에 수백 mm 구경의 소형 망원경 구동에 연결해 천문학자들이 천문 연구용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 프로그램들은 특히 일반인들이 사용하기 쉬운 그래픽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 연구에서 보여주고자 하는 과거 수천 년 전 당시 하늘 위의 행성과 별자리를 도식화하는 데 매우 유용하며 따라서 우리가 진행하고자 하는 연구에도 무리 없이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지구 내 고대 하늘의 별자리와 태양, 달 등의 시운동을 조사하기 위해 Starry Night 프로그램을 이용해 시뮬레이션을 하면서 당시의 기록을 확인하고 하늘의 모습을 재현해 보았습니다.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라미드 문서의 별자리 (0) | 2021.08.17 |
---|---|
고대 이집트 별자리 관측 기원 (0) | 2021.08.17 |
NASA - 2030년까지 두 가지 임무 (0) | 2021.08.03 |
태양계 밖에 행성들이 있을까? (0) | 2021.08.03 |
NASA 인내 탐사선: 작동 방식 및 작동 방식 (0) | 2021.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