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대별자리3 고대 동양의 우주관 고대 천문학 지식은 농사를 짓는 시기나 계절의 변화 등 인간의 의식주와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중요시되어 왔습니다. 태양의 그림자 길이의 변화를 이용하여 동지와 하지를 정확하게 예측하였습니다. 시간이 흐를수록 별자리 운행에 대한 천문관측법이 이론적으로 보다 발달하여 후대에 북두칠성의 손잡이 부분이 가리키는 계절에 따른 방위를 이용하여 달의 명칭을 정하는 데 사용되기도 하고, 이를 이용하여 한 해의 시작 및 밤 시각을 정하기도 하였습니다. 목성의 경우 북두칠성보다 먼저 천문학에 활용되기 시작한 것 같지만, 인도, 중국, 고조선에서는 이 행성의 12년 주기를 해 변화에 수천 년 전부터 이미 활용해 왔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해, 달, 항성은 농경사회와 중요한 관계가 있지만 행성들은 그렇지 않아 천문학 발달.. 2021. 8. 18. 고대 동양 별자리와 하늘 방위의 기원 고대 서양과 동양의 인접지역인 바빌로니아(수메르)와 이집트에서 발달한 천문학적인 업적은 후대 그리스 천문학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우주에 대한 신화적 설명에서 벗어나 우주를 과학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노력했고 천체의 운동을 설명할 수 있는 기하학적 우주 모형도 고안했습니다. 그리스 밀레토스, 이오니아 학자와 아리스토텔레스 등지에서 이러한 노력의 흔적은 발견되었으며 프톨레마이오스(AD90-168)의 알마게스트(Almagest, the Great)입니다. Treatise)에 집대성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들이 한꺼번에 중세까지 믿게 된 서양의 우주관은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며 행성과 태양이 지구 주위를 돌고 있는 천체운행으로 우주를 묘사하고 있습니다. 고대 중국에서도 이와 비슷한 우주관을.. 2021. 8. 18. 고대 이집트 별자리 관측 기원 고대 문명권의 별자리 관측을 논함에 있습니다. 현대적인 분류 체계에 의한 천문학이나 점성술, 그리고 별자리 신화 등을 구분하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우선 이 주제를 고찰하는 데 필요한 자료가 충분하지 않을 뿐 아니라, 있다 하더라도 종교적인 색채를 띠고 있거나 그림이나 조각 등의 상징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해석의 다양성이 전제되기 때문 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대 이집트의 경우 별자리 신화의 모티브가 나타나는 문헌과 시간 관측을 위한 천문학적 자료가 발견되고, 특별히 별자리 관측을 기준으로 하여 사용되었던 흔적은 어떤 태양별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고대 그리스의 경우 기원전 8세기에 기록된 호메로스의 일리아드와 오디세이, 그리고 기원전 7세기에 기록된 헤시오드의 노.. 2021. 8. 1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