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천문학

피라미드 문서의 별자리

by Today's Hot Issues 2021. 8. 17.


피라미드 문서의 별자리
고왕국 시대의 대표적인 제의 문서인 피라미드 문서는 일종의 장례 문서로 호루스와 일치하는 파라오가 죽고 오시리스가 되면서 비로소 영원 불멸의 존재가 된다는 주제를 중심으로 주술적인 기원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특별히 오시리스를 오리온자리로 보았기 때문에 파라오가 오리온이라는 개념도 이때부터 생겨나기 시작합니다. 오시리스의 배우자 이시스는 바로 소티스로, 이들의 아들 호루스는 아침의 별이라고도 불리는 소프두입니다. 특히 피라미드 문서에는 파라오가 죽고 하늘로 올라가는 장면이 자주 등장하는데, 이때 파라오는 밤새 지지 않는 별, 즉 주극성과 일치하여 그의 불멸성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피라미드 문서에서 궁극성은 '이켐-섹', 즉 '파멸을 모르는 자'라고 불리며 이집트 기자로 관측하면 북쪽 지평선 상 26도에서 30도 사이에 위치한 별입니다. 주극성의 대표적인 별자리로는 하마로 묘사된 용자리(Draco) 외에도 큰곰자리(Ursa Major)와 작은곰자리(Ursa Minor) 등이 있습니다. 특히 큰곰자리의 북두칠성은 메스케티우(meskhetiu), 즉 황소의 뒷다리로 그려져 있고, 이미 서기 2060년경 9왕조시대 목관의 뚜껑그림에 7개의 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고 합니다. 피라미드 문서에는 하늘의 황소가 파라오의 안내자로 나타나 있는데 기원전 1세기에 제작된 덴델라의 12궁도에는 황소자리(Taurus)가 오리온 앞에 배치되어 있습니다 이를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피라미드 문서에 표시된 별에 관한 대표적인 언급은 다음과 같이 정리됩니다.

 

1. 파라오는 별의 모습으로 나타납니다(263절).
파라오는 죽고 주극성이 됩니다
파라오는 주극성에 의해 올려집니다(139절).
파라오는 주극성으로서 불멸의 존재입니다(148-9절).
주극성 중에서도 특히 큰곰자리가 언급되어 있습니다(458절).
파라오는 죽고 오리온, 소티스와 일치합니다.
파라오는 오리온, 소티스와 함께 새벽이면 사라집니다(151절).
신들의 아버지인 오리온에 의해 위대한 권세가 왕에게 주어졌습니다(408절).
파라오는 오리온 및 소티스와 비교됩니다(723절).
당신은 오리온으로 하늘에 도달했고 당신의 영혼은 소티스처럼 인상적일 겁니다.’
하늘의 황소가 파라오를 안내합니다(803, 1717절).
오시리스는 오리온과 동일시됩니다(819절).
왕의 여동생이 소티스로, 둘 사이의 아들이 「아침의 별」입니다(357, 363, 929, 935절).
천신누트는 오리온과의 사이에서 파라오를 낳습니다(820절).
파라오는 오리온과 함께 동쪽 하늘로 올라가고 오리온과 함께 서쪽 하늘로 내려갑니다(821절).
소티스는 일년의 시작점입니다
소티스는 오리온의 딸로 나타납니다(965절).
"소티스는 당신의 사랑스러운 딸로서 '일년'이라는 이름 속에서 한 해의
생명력을 준비하면서 당신에게 나아갈 때 저를 이끌어 줍니다.’

2. 밤하늘의 삼신계: 색푸(오리온), 소프뎃(소티스), 소프두예집트 신화에서 흔히 발견되는 구신계(Ennead)나 팔신계(Ogdoad), 또는 가장 일반적인 삼신계(Triad) 등의 계보신체제가 별자리에도 적용되어 오시리스-이시스-호루스로 이어지는 별자리(Triad)를 형성하였습니다. 오리온자리 색푸(Sah))는 이집트의 대표적인 별자리로 삼신계 주신 오시리스의 상징이자 '오실리스의 위대한 영혼'으로 묘사되어 왔습니다. 소티스(Sothis) 또는 시리우스(Sirius)로 알려진 소프데트는 오리온의 배우자 여신 이시스의 상징으로 큰개자리의 알파성(Alpha Canis Major)입니다.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의 소티스는 머리 위에 별 장식을 단 여성으로 주로 표현됩니다. 한편, 아비도스에서 출토된 제1왕조 젤(Djer)왕의 상아 문패에는 두 뿔 사이에 식물이 놓인 암소로 그려져 있습니다. 소프데트는 1년 중 70일간은 보이지 않았으나 매년 7월 19일을 전후하여 해가 뜨기 직전에 동쪽 하늘에 처음 나타납니다. 그러나 대체로 이 때부터 본격적인 나일강의 범람이 시작되기 때문에 고대 이집트인은 이 날을 새해 첫날로 하여 365일로 구성된 태양력 체제를 고안하여 사용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세 번째 별 소프두는 사프토의 중심인 소프두입니다. 시나이 반도의 터키 옥광산이 위치한 세라비트 엘 카딤에서도 소후두를 숭배한 것으로 밝혀졌지만 소후두가 어느 별인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습니다

3) 피라미드 배열과 별자리입니다
피라미드 연구자들은 제4왕조 파라오들의 대표적인 묘지인 기자에게 건설된 3기의 피라미드 배치가 오리온 성좌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7) 고왕국 시대의 수도 멤피스 주변 나일강 서안에는 남북 길이 70km에 이르는 대규모 피라미드 묘지군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제 4왕조 이전의 무덤들은 대부분 남북의 축을 이루는 나일강을 기준으로 평행하게 위치하고 있는데, 기자에 있는 3기의 피라미드는 독특한 대각선을 이루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특히 세 번째 멘카우라 피라미드는 다른 두 개에 비해 그 크기도 작고 위치도 비스듬한 위에서 약간 서쪽으로 치우쳐 있습니다. 실제로 면적 기준으로는 다른 두 개에 비해 약 15 개의 소규모입니다. 피라미드가 비교적 소규모일 경우 대부분 주인공의 재위기간이 짧기 때문이라고 설명하지만 실제로는 쿠프(25년)나 카프라(26년)에 비해 오히려 멘카울라는 29년을 통치했습니다. 일부 학자는 기자의 3개 피라미드 배치가 오리온자리의 벨트에 해당하는 별 3개의 크기와 위치에 따른 것으로 해석했습니다.더 나아가 동쪽의 나일강을 은하수로 보고 기자의 세 피라미드뿐만 아니라 북쪽에 위치한 아블로와쉬의 제데프라 피라미드와 남쪽의 더위엘트 엘 아리안에 위치한 제3왕조 하마의 피라미드를 각각 오리온의 왼발과 오른쪽 어깨로 일치시켰습니다. 또, 기면 남쪽 20킬로미터 지점의 다슐의 피라미드군을 히야데스 성좌라고 보았습니다.